한옥의 시공

한옥의 시공

한옥은 나무, 흙, 돌을 이용해서 정교하게 다듬어 집을 짓기 때문에 한옥의 시공에는 뛰어난 기술을 가진 여러 장인과 정교한 연장이 필요하다. 한옥에서 가장 중요한 장인은 목수이며, 목수는 대목수(大木手)와 소목수(小木手)로 구분된다. 목수 이외에도 기와공, 흙벽공, 단청장(丹靑匠), 석수(石手) 등의 다양한 장인이 필요하다.

대목수
  • 한옥사진
  • 대목장(大木匠) 혹은 도편수라고도 한다. 목재를 다듬어 한옥의 구조체에 해당하는 기둥, 보, 도리, 공포를 짜고 추녀내기, 서까래걸기 등 지붕의 모양을 결정하는 일을 한다. 건물의 설계부터 공사의 감리까지 책임을 지기 때문에 지금의 건축가와도 역할이 비슷하다.

  • 소목수

    소목수는 가구를 꾸미는 사람이며, 창, 창문살, 반자, 마루, 난간 등을 짠다.

    흙벽공

    흙벽공은 벽체를 채우는 일 및 기타 흙을 채우는 일을 담당한다.

    기와공

    기와공은 지붕 만들기 단계에서 기와 잇는 일을 수행한다.

  • 단청장

    단청장은 한옥에서 중요한 장식요소인 단청을 그리는 일을 맡는다.

    석수

    석수는 주춧돌을 비롯한 석재를 다루는 일을 맡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석재를 사용한 건축이 많았기 때문에 석수의 기술이 매우 발달하였다.

한옥사진

조선시대 건축 장인들은 특별한 것을 제외하고는 한옥 시공에 필요한 연장을 직접 만들어 썼다. 연장들은 기능별로 세분되어 수많은 종류가 있지만 용도에 따라 터잡기 및 긋기 연장, 자르기 연장, 깎기 연장, 파기 및 쪼기 연장, 치기 및 다지기 연장, 갈기 연장, 운반 연장, 기타 연장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장인들은 한옥 시공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두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이음, 두 부재가 직교하여 만나게 연결하는 맞춤 등이 대표적인 목공기술이며, 돌로 만든 초석 위에 기둥을 딱 맞게 올리기 위해 밑둥을 깎는 그랭이질도 눈여겨 볼만하다.

한옥사진

한옥 공사는 터잡기로 시작하여 집을 지은 후 주변 가꾸기로 마무리 된다. 공사의 중요한 단계마다 집이 안정되고 집주인이 복을 받을 수 있도록 각종의식을 행하는 것도 특징이다. 이중 종도리를 올리면서 지내는 상량식(上樑式)은 건축 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의례로 집의 주요한 구조가 완성되었음을 알리고 고생한 장인들의 노고를 위로 하는 의례이다. 공사 및 의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① 집터잡기 : 자연 지세에 따라 집의 규모와 좌향 등을 정한다. 복거(卜居), 좌향(坐向) 의례를 치른다.
  • ② 설계하기 : 기필요한 용도와 주변 기후에 적합하도록 건물을 설계한다.
  • ③ 기초공사 : 건물이 들어갈 자리를 다듬는다. 처음 땅을 팔 때 개기(開基) 의례를 치른다.
  • ④ 초석놓기 : 기둥이 놓을 장소에 초석(礎石)을 놓는다. 열초(列礎) 의례를 치른다.
  • ⑤ 치목 : 나무를 필요한 각 부재로 다듬는 작업이다. 치목(治木) 의례를 치른다.
  • ⑥ 조립 : 기둥을 세우고, 들보와 도리를 얹은 다음 서까래, 개판 등의 지붕 부재를 조립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한옥의 기본 구조가 완성된다. 입주(入柱), 상량(上樑) 의례를 치른다.
  • ⑦ 기와잇기 : 기와장이가 완성된 지붕 구조에 나무와 흙을 두텁게 쌓고 깐 후 암키와와 수키와를 깐다.
  • ⑧ 수장들이기 : 모든 구조 부재가 안정된 후 벽선 등을 설치한다.
  • ⑨ 흙벽치기 : 흙벽장이가 진흙, 백토, 생석회 등을 섞은 흙에 짚 등을 섞어 벽을 바른다.
  • ⑩ 마감공사 : 온돌, 마루, 난간, 창호 공사 등을 시행한다.
  • ⑪ 주변가꾸기 : 건물 주변에 화계(花階), 장독대, 담장, 대문 등을 설치하고 꾸민다.
  • ⑫ 입택하기 : 풍수에 따라 정해진 날에 집에 들어간다. 입택(入宅) 의례를 치른다.
한옥사진

목구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 위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 상부에 창방을 짜 맞춤한다. 그 위에 주두를 놓고, 앞뒤 방향으로 보를 끼운 다음 직각방향으로 도리를 얹어서 완성한다. 포집이나 익공집에서는 주두를 놓은 후 포를 올린다.

  • 기둥

    기둥은 단면 형태에 따라 원형기둥, 네모기둥, 다각형기둥으로 나뉘며, 입면 형태에 따라 원통형 기둥, 민흘림기둥, 배흘림기둥으로, 위치에 따라 외진주(外陣柱), 내진주(內陣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창방은 기둥머리를 좌우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부재이다.

    보는 건물 앞뒤를 연결하는 수평 구조부재이며, 지붕의 무게를 받아주는 역할을 한다. 보는 그 위치와 쓰임에 따라서 명칭이 다양하다. 가장 크고 길이가 긴 대들보가 있고, 대들보 위에 놓이는 중보와 종보, 대들보 앞뒤의 짧은 보인 툇보가 있다.

    도리

    도리는 건물의 좌우를 연결하는 부재이며, 목구조 중에서 가장 위에 놓이면서 서까래를 받는다. 놓이는 위치에 따라 주심도리, 중도리, 종도리 등으로 구분하며 종도리가 가장 위에 놓인다. 도리는 단면 모양에 따라 둥글게 만든 굴도리, 네모난 모양의 납도리, 팔각도리로 구분된다.

    종도리

    종도리를 올린 후 상량식(上樑式)이라는 의례를 치룬다. 이는 집의 완성을 알리고 고생한 장인들의 노고를 위로 하는 의례이다.

  • 공포

    공포는 기둥 위에 놓여 보와 도리를 지지하는 부재의 조합을 말한다. 대개 공포는 주두, 첨차, 살미, 소로로 이루어지고, 주심포, 다포, 익공형식으로 구분된다.

    한옥사진

지붕 공사는 지붕 가구의 조립과 기와잇기로 진행된다.

  • 한옥사진
  • 추녀

    추녀는 지붕 공사 시 가장 먼저 거는 부재로 지붕 모퉁이에서 45도 방향으로 놓는 부재이다.

    서까래

    서까래는 도리 위를 건너지르는 부재로 경사진 지붕면을 만든다. 서까래 하나로 만드는 처마를 홑처마라 하고 이중으로 서까래를 뺀 큰 지붕을 겹처마라고 한다. 지붕의 곡선은 추녀의 곡선 및 길이 결정 → 서까래의 곡선 및 길이 결정 → 서까래와 평고대 고정 → 부연 걸기 → 합각부분 마무리로 결정된다.

지붕가구의 조립

팔작지붕에서는 네 모서리에 추녀를 차례로 걸고 서까래를 건 후 부연을 걸어서 완성한다.

기와잇기

기와잇기는 지붕의 골격이 이루어진 다음에 시작된다. 서까래 사이에 산자 엮기를 한 후 흙을 덮고, 적심 및 보토를 깐다. 이후 암키와를 깔고, 홍두깨흙을 채우고 수키와를 쌓은 후, 마루 기와를 쌓아서 완성한다.

  • 산자

    산자는 서까래 위로 기와를 이을 수 있도록 나무 등을 새끼로 엮어 만든 것을 말한다.

    적심

    적심은 산자 위에 채우는 나뭇조각이나 껍질을 말한다. 흙 대신 적심을 채우는 이유는 지붕의 무게를 줄이고 서까래의 부식을 방지하며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마루기와

    지붕에서 하늘과 맞닿는 모서리 부분을 마루라고 한다. 마루는 가장 높은 곳부터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로 구분되는데, 마루기와는 이러한 마루에 놓는 기와이다.

  • 보토

    보토는 적심이나 산자 위에 단열과 지붕 곡을 고르게 하기 위해 까는 흙이다.

    기와

    암키와는 젖혀 놓는 기와이며, 수키와는 이와 반대로 두 암키와 사이를 엎어 잇는 기와이다. 홍두깨흙은 수키와를 고정하기 위해 채워 넣는 흙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추위에 적응하기 위하여 온돌이, 더위에 적응하기 위하여 마루가 발달하였다. 온돌은 한국에서 크게 발달한 난방법으로 우리 민족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된다.

온돌

온돌은 순우리말로 구들이라 하며, 구들은 신석기 유적에서도 확인될 정도로 유래가 깊은 난방방식이다. 구들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열의 전도를 이용한 것이다. 즉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구들장에 열을 가하여,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하는 것이다. 구들의 구조는 부엌의 아궁이, 방의 구들장, 마당을 향해 있는 굴뚝으로 나눌 수 있다.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면 불길이 구들장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바닥을 데우고 마지막에 굴뚝을 통해 연기가 빠져 나가게 된다. 구들은 간접적으로 난방하기 때문에 내부 환경이 쾌적하고, 요리와 난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한옥에 널리 사용되었다.

한옥사진

마루

  • 한옥사진
  • 마루는 판재를 깔아 마감한 바닥을 말하며, 귀틀은 마루의 기본 골격이 된다. 한옥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우물마루는 귀틀과 마루널이 만드는 모양이 한자의 우물정(井)처럼 생긴 마루이다. 우물마루는 장귀틀과 동귀틀로 골격을 먼저 맞춘 후 귀틀에 판 홈에 청판을 끝부분부터 차례대로 끼워서 완성한다. 장귀틀은 앞 기둥과 뒤 기둥 사이에 거는 긴 귀틀이며, 동귀틀은 장귀틀 사이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짧은 귀틀이다.

창호

창호는 한옥의 내외벽에 설치하는 출입, 환기 및 통풍을 위한 개폐장치이기 때문에 기능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한옥은 정면 및 후면 벽체의 대부분이 창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호는 장식적인 측면에서도 무척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출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을 호(戶)라고 하고, 빛을 받아들이고 조망하고 환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것을 창(窓)이라 한다. 한옥의 시공에서 창호 재료로는 주로 목재를 사용하며, 소목이 담당한다. 창호 공사는 수장들이기 공사 이후 머름을 들인 후 시행한다. 머름은 창의 하부에 대체로 문갑 높이로 짜 넣은 시설이며 이 높이가 창의 높이가 된다. 창호의 종류로는 판문과 살문이 있다. 판문은 세로로 판자를 나란히 두고 가로로 엮은 것이며, 살문은 살을 엮고 그 뒷면에 창호지나 비단을 댄 문이다. 살문 중 대표적인 것은 세살문이며, 사찰건축 및 궁궐건축 등에서는 이 중 화려한 꽃살창 등을 사용하였다.

한옥사진

천장

천장은 지붕면을 가리기 위해 실내에 하는 마감이며, 연등천장과 의장천장으로 나뉜다.

  • 연등천장

    연등천장은 구조체가 그대로 천장이 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대청이나 누마루 등 개방적인 공간에 사용된다.

    한옥사진
  • 의장천장

    의장천장은 구조체와는 별도로 구성된 천장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우물천장이 있다. 우물천장은 우물마루를 만들 때와 같이 장귀틀과 동귀틀을 격자로 짜고 청판을 끼운 것이다. 궁궐이나 사찰 등에서 주로 사용하며 단청을 넣어 장식하기도 한다.

    한옥사진